- Environmental(환경), Social (사회), Governance (지배구조)의 영문 머리글자를 따서 만든 용어로 기업 경영이나
투자 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비 재무적 요소들을 지칭 - 주주이익, 기업이윤창출에 초점을 둔 주주중심 자본주의에서 다양한 이해 관계자를 고려하는 이해관계자중심 자본주의로
발전하며 부각된 개념 -
지속가능성을 달성하기 위한 ‘환경, 사회,지배구조 등 세가지 비 재무적 요소

ESG경영은 이해관계자들이 기대하는 기업의 ‘미래가치 창출 활동’입니다.

기업의 ESG경영,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.
- ESG, 기업의 필수 생존 전략입니다
기업경영에 있어 매출, 이익과 같은 재무적 요소 외에, 환경(E), 사회(S), 지배구조(G)
등의 비재무적 요소 고려가 선택이 아닌 필수생존전략으로 대두
공급 망 실사 시 ESG 반영으로
협력업체 선정에서 위험증가합니다.
소비자의 수준향상, 결과지향에서 과정도
중요하게 생각하며 소비, 기업이 제대로
대응하지 못하면 소비자 불매운동 등
발생합니다.
소비자의 수준향상, 결과지향에서 과정도 중요하게 생각하며 소비, 기업이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면 소비자 불매운동 등 발생합니다.
정부의 ESG 규제로 공공입찰
참여시 불이익 발생시 우려
투자자 및 금융기관도 ESG
우수기업에 우선투자와 자금공급
- ESG 경영을 제대로 하지 못하면?
기업의 비재무 요소에 관심을 가지고 투자해 전통적인 시각에서 벗어나 장기적인 관점에서
기업의 이익과 사회 환원을 목표로 하지 않는다면 여러가지 문제 발생

‘ESG’ , CEO 의지만 있으면 실행할 수 있습니다.
경영의 축을 환경(E), 사회(S), 투명경영(G)에 맞춰 지속가능한 성장 도모
환경 E
- 대기오염물질 줄이기
- 에너지 절약하기
- 물 아껴 쓰기
사회 S
- 근로기준준수
- 산업안전관리
- 직원참여 / 복지
- 지역사회 공헌
투명 경영 G
- 법규준수
- 비 윤리적 이슈 관리하기
- 부정청탁 하기 않기
- ESG 경영의 효과
- 재무성과 개선, 회복탄력성 제고
-
평판효과(reputation effect) 상승
-
ESG우수기업 세제 혜택(금리인하 등)

ESG는 긍정적 영향을 최대화하고 부정적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해 위험(Risks)의 철저한 예방과 미래 사업 기회 창출이 병행되어야 합니다.
